gtag('config', 'G-W35LG0HZ13');
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주식169

국내주식 거래시간(정규장, 장전시간외, 장후시간외, 단일가매매) 알아보기 오늘은 주식거래시간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주식을 매수하고 매도할 수 있는 시간은 24시간 개방돼 있지 않습니다. 국내 주식시장 거래시간은 정해진 기준에 의해서 운영이 되고 있습니다. 정규장 AM9:00~PM3:30 국내 주식시장 정규장은 오전 9시부터 시작해서 중간에 쉬는 시간 없이 오후 3시 30분까지 개장되어있습니다. 그래서 가끔 점심시간을 틈 타 상한가를 치는 종목도 있고 오전에는 하락장을 보이다가 오후에는 상승장을 보이는 경우도 있고 등등 이처럼 매우 다양한 상황이 언제 이루어질지 모르기 때문에 주식을 하시는 모든 분들은 대부분 주식 정규장 시간 동안은 긴장을 놓지 못합니다. 그리고 정규장은 다음과 같은 원칙에 의해서 운영이 되고 있습니다. ​1.가격우선의 원칙​ 매도할 때는 낮은가격부터 매수.. 2022. 1. 22.
주식 용어 예수금 증거금 대용금 미수금 알아보기 오늘은 주식용어인 예수금 증거금 대용금 미수금을 알아보겠습니다. ​주식 예수금 주식을 위한 거래 자금을 의미합니다. 쉽게 이야기 하면 주식거래를 위해서 증권통장을 개설하였을 건데 이 통장에 거래를 하기 위해 자금을 예치한 것이 바로 예수금이라고 하는 것입니다. 예수금은 예치하기만해도 증권사에서 이를 투자 자금으로 활용할 수 있으므로 이율이 붙게 됩니다. 그러므로 주식을 매도하였을때 바로 들어오는 것이 아니라 2일 정도 있다가 들어오는 이유는 증권사에서 해당 자금을 이용하였고 그 자금을 다시 내주는데 시간이 걸리기 때문입니다. ​이자를 보다 늘리려면 기본 증권계좌보다 이율을 더 주는 CMA통장을 차라리 개설하여 예수금 이율을 높이는 것도 좋습니다. 요즘에는 증권사에서 기본형으로 개설하면 RP 형으로 되기 .. 2022. 1. 21.
알파벳 주식용어 PER PBR EPA BPS ROE 알아보기 오늘은 PER PBR EPA BPS ROE 에 대해서 알아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1. PER (Price Earning Ratio) 주식 PER라는 것은 주가수익비율을 의미하는데 주가수익비율은 주가를 주당순이익으로 나누었을때 나오는 것입니다. 예를 들면 회사가 현재 100만원의 주가로 형성이 되어 있는데 그중에 순이익이 10만원이라면 주가 100 을 순이익 10으로 나눈값이 10이 되므로 PER는 10이 됩니다. PER의 수치는 낮으면 낮을수록 좋으며 PER 수치가 10이라는 것은 현재 주가당 이익보다 10배나 비싸다는 의미입니다. 100이면 100배 비싸게 되는 것입니다. 100의 경우 성장잠재력이 높은 회사의 경우 이러한 수치가 나타나기도 하지만 투기를 의심해보셔야 합니다. 2. PBR (P.. 2022. 1. 20.
파생상품에 대해 알아봅시다. 파생상품이란? 파생상품은 환율, 금리, 주가 등의 시세변동에 따른 손실위험을 줄이기 위해 미래 일정 시점에 일정한 가격으로 상품이나 주식, 채권 등을 거래하기로 약속한 일종의 보험성 금융상품으로 시작했습니다. 이 중 가장 많이 거래하는 것은 선물과 옵션입니다. 우리나라 파생상품 거래대금은 현물주식 거래대금을 훨씬 능가하고 현물주식시장을 좌지우지합니다. 선물이나 옵션은 종목 선택 필요없이 방향성만으로 매매하기 때문에 현물주식에 비해 쉬운 면도 있지만 높은 레버리지 효과 때문에 기대수익률이 높은 만큼 손실을 볼 위험도 매우 높습니다. 파생상품의 기능 1. 파생상품은 위험관리 기능을 합니다. 현물주식을 보유하고 있는 사람이 현물주식보다 적은 금액으로 지수선물을 매도해 두면 주식시장 전체가 하락할 때 보험을 들.. 2022. 1. 1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