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tag('config', 'G-W35LG0HZ13');
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주식169

코스피·코스닥 2% 상승, 尹 당선 수혜주 급등 지정학적 리스크 진정 기대감과 유가 등 원자재 가격 급락세에 코스피와 코스닥이 2% 상승마감했습니다. 전일 치뤄진 제20대 대통령 선거에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후보가 당선되며 정책 수혜주들의 강세도 두드러졌습니다. 10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코스피 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57.92포인트(2.21%) 오른 2680.32에 거래를 마쳤습니다. 이날 코스피 시장에서 개인과 외국인은 각각 3546억원, 4246억원을 순매도한 반면 기관은 홀로 7662억원을 순매수하며 지수 상승을 이끌었습니다. 한 연구원은 “이날 코스피는 선물·옵션 동시 만기일을 맞이했지만 기관의 순매수 움직임 속에서 상승 마감했다”며 “유가 급반락에 따른 스태그플레이션 우려 일부 완화 및 우크라이나와 러시아 간 외교적 협상 기대감에 위험선호 .. 2022. 3. 12.
IPO(기업공개)에 대해 알아보기 IPO(기업공개)란? Initial Public Offering의 약자입니다. 어떤 기업 주식이 증권시장에서 공식적으로 거래되기 위해서는 상장이라는 과정이 필요합니다. IPO는 상장방법의 하나로 기업의 주식과 경영내역을 시장에 공개하여 외부 투자자가 공개적으로 주식을 살 수 있도록 증권시장에 공식적으로 등록하는 것입니다. IPO의 이유 1. 기업은 대규모 자금 조달이 가능해집니다. 이 돈으로 빚을 갚으면 재무구조가 개선될 수 있습니다. 만약 신규사업 투자에 투자하면 기업의 미래성장 가능성을 키울 수 있습니다. 또 기업공개를 통해 신뢰도도 증가하고 기업 홍보로 이미지 개선에도 도움이 됩니다. 2. 투자자는 성장가능 기업에 안전한 투자가 가능해집니다. 물론 장외시장에서도 투자할 수 있지만 안전성을 좋아하는 .. 2022. 2. 5.
공매도에 대해 알아봅시다. 공매도란? 공매도는 영어로는 "short selling"이라고 합니다. 이는 주가가 하락될 것으로 예상하는 종목의 주식을 빌려서 비싼 가격에 팔고 나중에 주가가 하락하면 그 때 다시 매수해서 그 차액을 수익으로 가져가는 방법입니다. ​예를 들어 주가가 100만원인 종목이 있다고 하면 누군가가 추후에 이 종목의 주가가 떨어질 것으로 예상하고 주식 보유자에게 주식을 빌립니다. 빌릴 때는 대차수수료(연간 3~4%)가 비용으로 나갑니다. 빌리고 나서 바로 매도하면 100만원 현금이 들어오고 나중에 주식의 가치가 50만원으로 떨어졌을 때 다시 구매해서 빌린 주식을 상환하면 대차수수료를 제외한 약 50만원이 순수익이 됩니다. 주가는 항상 변하기 때문에 오르기 전에는 매수, 하락하기 전에는 공매도를 하면 항상 수익을.. 2022. 2. 3.
주가지수 옵션거래와 투자기법 알아보기 콜옵션과 풋옵션 옵션거래란? 옵션거래는 주가지수를 기초자산으로 하여 미리 정해진 행사가격으로 정해진 기간 내에 매수나 매도할 수 있는 권리를 매매하는 것입니다. 옵션의 특징 1. 권리에 대한 프리미엄 거래입니다. 옵션은 권리를 프리미엄을 주고 사고파는 거래입니다. 살 수 있는 권리를 콜옵션이라하고, 팔 수 있는 권리를 풋옵션이라고 합니다. 예를 들어 현재 100인 지수가 오를 것이라 예상해서 옵션가격을 치르고 100에 살 수 있는 콜옵션을 매수합니다. 예상대로 지수가 102로 오르면 100에 살 수 있는 권리를 행사해서 이익을 보는 겁니다. 2. 매수자와 매도자의 손익구조가 다릅니다. 옵션을 매수한 사람은 예상이 맞았을 때 이익의 범위는 무한대지만 손해를 볼 수 있는 범위는 옵션을 매입한 금액에 한정됩니다.(예상이 빗나.. 2022. 1. 3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