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주식/주식 기초114 주식시장의 상하한가 제도와 거래중지 제도 주식시장의 상한가, 하한가? 우리나라에서는 투자자를 보호하기 위해 개별 주식의 가격변동폭을 제한하고 있습니다. 전일 종가 기준으로 30% 이상 오르거나 내릴 수 없는데 이를 상한가, 하한가라고 합니다. 가격제한폭의 확대로 시장이 불안정해지지 않을까 하는 걱정도 있으나, 주식투자 활성화와 원활한 자금 흐름에 대해 기대하는 면도 많습니다. 미국, 유럽 등 선진국은 가격제한폭이 없으며 자본시장 발달 정도가 낮은 국가일수록 가격제한폭이 좁습니다. 그런 의미로 우리나라는 중간 정도 되겠습니다. 주식시장에서 거래가 중지될 때 주식시장에는 주가가 지나치게 큰 폭으로 급등락할 때 투자심리를 진정시키고 다수의 투자자들이 관련 정보를 공유할 시간을 주기 위해 매매를 일시적으로 지연시키거나 정지시키는 제도가 있습니다. 사이.. 2022. 1. 3. 공모주 청약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기 공모주 청약 기업이 상장하려고 할 때 기업 공개(외부투자자들에게 주식을 공개매도하는 일)하는 과정에서 자사의 주식을 사람들에게 매각하거나 신주를 발행해 청약자를 모집하는 걸 공모라고 하고, 공모주를 사기 위해 청약 서류 작성, 청약 증거금을 내는 절차를 공모주 청약이라고 부릅니다.(첫 줄의 상장이란 주식이 코스닥이나 코스피 시장에서 매매될 수 있도록 한국거래소에서 자격을 부여하는 것입니다.) 공모주 청약의 종류 공모주 청약은 균등배정과 비례배정으로 나뉩니다. 공모주들은 대부분 균등을 50%, 비례를 50%로 청약을 진행하는데 최근 상장한 카카오페이는 예외적으로 공모주 물량 전부를 균등으로 했습니다. 균등배정은 증거금과 상관없이 청약 신청 숫자를 기준으로 주식을 배분합니다. 그래서 증거금은 최소 단위만 넣.. 2022. 1. 2. 이전 1 ··· 26 27 28 29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