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시간에는 국민 임대아파트 입주 조건과 신청 및 자격과 대상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질게요. 집값이 최근에는 주춤하기도 하고 떨어지는 곳도 있어요. 하지만 여전히 매매나 전세 가리지 않고 시세가 급증하고 있는 곳도 있다 보니 많은 분들이 시세가 저렴한 임대아파트에 관심을 가지고 있어요. 하지만 모든 사람이 들어갈 수있는 건 아니에요. 상대적으로 저렴하고 혜택이 있는 만큼 특정 사람들에게만 허용되고 일정한 조건을 충족해야 해요. 조건도 알아보고 신청은 어떻게 하는지 알아볼게요.
임대아파트
임대아파트는 무주택 저소득 서민들에게 저렴한 비용으로 주거안정을 도모하고 안정을 누릴 수 있도록 해주는 제도예요. 각 소득 계층별로 다양한 임대주택이 공급되고 있으며 시세보다 저렴하기 때문에 부담을 줄일 수 있어요. 이런 임대주택은 소득 및 공급규모와 개인의 자산과 대상에 따라 구분이 되고 있으며 영구와 공공과 장기전세와 행복주택 등으로 분류해요. 여기서 임대기간이 가장 길게 적용되는 건 영구임대예요. 다만 가장 긴 만큼 조건이 까다롭고 규모가 작다는 단점이 있어요.
국민 임대아파트의 임대기간은 기본 30년이 적용돼요. 그리고 공급가격은 시세에서 약 60에서 80% 사이로 저렴하게 나와요. 전용면적은 신혼부부와 1인 가구 등 소수인원이 살기에 적합한 85제곱미터예요. 이런 주택을 공급받기 위해서는 무주택 세대구성원으로 소득 2에서 4분위에 해당하는 사람이어야만 합니다.
나름 괜찮은 조건이라 상당히 매력적으로 다가오지만 넓은 공간을 추구하는 사람들에게는 조금 작을 수 있어서 실망할 수도 있어요. 저렴한 비용에 호화스러운 공간에 넓은 공간과 경치를 바라면 안됩니다. 어느 정도 금액에 맞춰 살아갈 필요가 있어요. 어쨌든 자산과 자동차와 소득기준을 충족해야 입주를 할 수 있어요.
입주 조건은 총 자산은 2억 9천만 원 이하로 잡혀야 하며 자동차는 3천 4백만원 이하여야만 해요. 소득기준은 기준중위소득에 따르고 있습니다. 면적에 따라 결정된다고 보면 돼요.
만약 당신이 60제곱미터 이하의 면적을 원한다면 중위소득 70%이하이면 돼요. 1인가구이면 1361368원이고 2인 가구이면 2282059원이에요. 3인가구는 2936290원이고 4인가구는 3584756원이에요. 마지막으로 5인가구이면 4217160원이면 자격을 충족해요.
반대로 85제곱미터 이하 면적을 원한다면 중위소득 100%이하예요. 1인 - 1944812원, 2인 - 3260085원, 3인 - 4194701원, 4인 - 5121080원, 5인 - 6024515원이에요.
영구 임대아파트 임대기간은 50년이에요. 국민임대보다 훨씬 더 긴 기간입니다. 시세 대비 30%수준으로 공급되고 있으며 전용면적은 40제곱미터 이하로 매우 작은 편에 속해요. 공급대상은 생계급여 또는 의료급여 수급자이면 돼요. 거주할 수 있는 기간이 50년으로 최장이에요. 당첨만 된다면 인생의 절반은 집 걱정 없이 살 수 있다는 거에요. 나이 30세에 당첨된다면 80까지는 살 수 있습니다.
특이한 점은 자산이나 소득과 자동차 등의 기준이 따로 없고 단지 생계급여 및 의료급여 수급자와 소득 1분위에 해당하는 분이면 신청이 가능하다는 거에요. 이미 저소득 계층임을 증명하는 것으로 추가적인 조건을 따로 요구하지는 않나 봐요.
신청하는 방법은 LH청약센터 홈페이지에서 공고가 뜬 다음 신청할 수 있는 기간에 임대주택 청약신청을 하시면 돼요. 모집공고 확인은 공공주택찾기에서 입주자 모집공고를 보고 준비를 하면 돼요. 마이홈포털사이트에 들어간 다음 상단에 위 메뉴가 나와 있으니 참고하면 됩니다. 청약홈 메인에 거의 다 나와 있으니 그냥 보고 하시면 돼요.
지금까지 국민 임대아파트 입주 조건과 신청 및 자격과 대상에 대해 살펴보았어요.
'주식 > 주식 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부모가정 지원금 신청과 자격 및 혜택과 양육비 내용 알아보기 (1) | 2022.12.19 |
---|---|
소득금액증명원 온라인, 모바일, 주민센터 발급 방법 (0) | 2022.12.17 |
자녀 증여세 면제한도와 부담부증여 정리 (0) | 2022.12.10 |
국민연금 가입과 추가 납입 및 조기 수령과 나이 등 정보 (0) | 2022.12.04 |
직장인 근로자 각종 수당(야간수당, 주휴수당, 연장근로수당, 휴일수당) 정리 (0) | 2022.12.02 |
댓글